2021. 3. 11.

국민의 몇 퍼센트가 글을 읽을 수 있는가는 한 국가의 문명화 지표이다.

지난 2013년 유네스코는 전 세계적으로 7억 7,400만 명이 글을 읽거나 쓰지 못하고 있다는 통계치를 발표한 바 있다.

영국 BBC 역시 ‘선진국이라 불리는’ 미국에서 1,600만 명, 즉 성인 인구의 약 8%가 문맹이라는 보도자료를 발표하기도 했다. 

mn.kbs.co.kr/news/view.do?ncd=3580414

 

 

그렇다면 북한은 어떨까?

2012년 10월 8일 미국 중앙정보부(CIA)의 ‘더 월드 팩트북(THE WORLD FACTBOOK)’에 따르면 북한의 ‘문자해독률(Literacy : 15세 이상 인구 중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인구)’는 1991년 기준으로 99%(남성 99%, 여성 99%)였다.

현재 한국에 사회적 편견과 경제적 형편 탓에 한글을 배우지 못한 노인들이 수십 만 명 존재한다는 사실과 비교하면 상당히 놀라운 통계자료라고 볼 수 있다.

-연합뉴스, “북한 문맹률이 0%에 가까운 까닭은”, 2012/10/08, “2008년 국립국어원의 ‘국민 기초 문해력’ 조사 결과, 문장 이해능력이 거의 없는 19세 이상 한국인 인구가 전체의 7%인 약 26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2000년대 남한에 정착한 한 탈북자는 “북한에 있을 때 글을 못 읽거나 못쓰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며 “아주 나이가 많은 노인 중에서도 문맹자는 찾아보기 어려웠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북한의 공식발표에 따르면 해방 후 4년 만에 문자해독률은 99%에 달했다고 한다.

즉, 1949년 38선 이북지역 성인들 모두가 우리말을 읽고 쓸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학교와 공공기관에서 일본말을 썼던 일제 강점기 후 4년 만에 어떻게 그것이 가능했을까?

이번 글에서는 북한의 문맹퇴치사업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볼 예정이다.

아울러 해방 후 북한에서 진행된 교육사업 전반도 함께 다뤄보고자 한다.

 

 

할매, 할배들이 우리 말을 읽는 순간.
– 해방 후 북한의 교육사업 –

 

<목차> 


1. 문맹퇴치사업
 1) 중요성
 2) 국가적 차원으로 진행된 문맹퇴치사업
 3) 대중이 스스로 나서게 한 문맹퇴치 사업

2.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교육사업
 1) 교원 마련
 2) 기숙사·장학금·월사금 지원
 3) 교과서, 학용품 지원

3. 대학교육

4. 독립운동가 자녀들에 대한 교육

 

 


 

3) 교과서, 학용품 지원



해방 후 교육사업에서 필요했던 것 중 하나가 우리말로 된 교과서였다.

학생들에게 한글, 한국역사, 한국지리 등을 제대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교과서가 빨리 마련되어야 했다.

-신효숙, ‘소련군정기 북한의 교육개혁’, “북한현대사 1”,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엮음, 한울아카데미, 2004년, 204쪽.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는 이런 요구를 받아들여 교과서 출판사업에 나섰다.

우선 1946년도에 이용할 114개 과목에 해당한 183종의 교과서를 집필하기 위해 200여 명의 집필자들과 방조자 500명으로 구성된 대규모 집필진을 꾸렸다.

-신효숙, ‘소련군정기 북한의 교육개혁’, “북한현대사 1”,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엮음, 한울아카데미, 2004년, 206쪽.

 

교과서편찬사업의 기본원칙은 ‘민주주의 노선’에 입각하여 “일본제국주의 잔재 요소를 철저히 숙청”, “특히 인민(도덕과목), 역사, 국사를 중심으로 정치, 사회, 경제와 밀접한 연결성이 있는” 내용을 담는 것이었다.

-신효숙, ‘소련군정기 북한의 교육개혁’, “북한현대사 1”,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엮음, 한울아카데미, 2004년, 207쪽.

 


이렇게 하여 1946년 9월 1일부터 인민학교의 7개 과목 25종의 교과서 45만 6500부를 보급했으며 중등학교의 경우 13개 과목 28종의 교과서 51만 3300부를 배포하는 성과를 이룬다.

-김성보, 기광서, 이신철,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현대사”, 웅진지식하우스, 2014년, 70쪽.

 

그 외에도 학교 건물, 교육에 필요한 각종 문구, 장비들도 마련해야 했다.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는 학교를 짓고 각종 설비를 마련하기 위해 대중의 힘에 의거했다.

이렇게 하여 시작된 학교기금헌납운동은 대중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학교를 위한 헌금과 성미 총액은 1948년 9억 5,000만원, 1949년 10억 3,000만원에 달했다.

-신효숙, ‘소련군정기 북한의 교육개혁’, “북한현대사 1”,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엮음, 한울아카데미, 2004년, 199쪽.

 

이는 북조선인민위원회의 예산 총액의 5%, 교육예산의 절반(1949년 교육예산은 20억 8,000여 만 원)에 맞먹는 막대한 금액이었다.

-현재 한국 경제규모와 비교하면 1조원에 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많은 돈이 모금된 것은 일제 식민통치 기간 내내 억압되었던 교육기회의 확대를 대중들이 원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신효숙, ‘소련군정기 북한의 교육개혁’, “북한현대사 1”,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엮음, 한울아카데미, 2004년, 199쪽.

 

이렇게 하여 1946년 불과 1년 만에 1110개의 6년제 인민학교가 새로 세워져 1946년 인민학교 개수는 총 2482개에 이르게 되었다.

-김성보, 기광서, 이신철,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현대사”, 웅진지식하우스, 2014년, 70쪽.

 

중학교도 1945년 44개에 불과하던 것이 1946년 217개, 즉, 5배 가까이 늘어나 청소년들에게 중등교육의 기회를 보장할 수 있었다.
 

 

3. 대학교육

 

김일성 위원장은 일찍부터 국가 건설의 각 분야를 담당할 전문인력의 필요성을 누구보다도 절감하고 있었다.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는 민족의 장래를 책임질 새로운 고급인력을 길러내기 위해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의 창설에 눈을 돌렸다.

대학교육이 진행되려면 우선 교수진이 필요했다.

그러나 권위 있는 인물들은 대부분 수도 서울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는 첫째. 과학기술로 일제 치하 교육기관, 공장 등에서 근무했다고 하더라도 과거의 죄를 인정하고 건국사업에 헌신하겠다는 뜻을 밝히면 과감히 발탁하는 정책, 둘째. 38선 이남지역의 인재들을 이북으로 데리고 오는 정책을 펼쳤다.

이 중 38선 이남지역의 인재들을 이북으로 데려오는 사업을 맡았던 인물이 남조선신민당 백남운 위원장이었다.

그는 법학자 최용달을 비롯해 역사학자 김석형과 박시형, 물리학자 도상록(북한 핵 과학의 권위자), 누에고치 섬유 계통 권위자 계응상, 기술자 최재우 및 강영창 등 많은 과학자, 기술자,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38선 이북지역으로 데리고 갔다.

이들이 훗날 김일성종합대학 등의 대학 교수진, 이북지역 경제건설의 핵심 실무자로 되었다.

이렇게 남쪽 지식인들이 월북을 감행했던 것은 이남지역 미군정의 정책에 대한 환멸감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비날론을 개발한 리승기 교수의 경우 미군정이 국립 서울대학교 건립을 추진하고 미 해군대위를 총장으로 세우는 것에 대해 반발해서 월북행을 택한 인물이었다.

교수진이 어느 정도 확보되면서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는 종합대학 건립에 박차를 가했다.

1946년 10월 1일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는 김일성종합대학의 개학을 선포하게 된다.

김일성종합대학은 18세부터 40세까지 입학자격을 부여했다.

1946년 8월 20일부터 25일까지 입학시험을 진행해 총 2천여 명의 1기 입학생을 뽑았다.

-“북한 핵심간부 양성에서 세계일류로”, 통일뉴스, 조정훈 기자, 2016/10/02 

 

 

입학생들은 지주‧자본가 출신 158명을 제외하고 모두 노동자, 농민, 사무원 출신의 자녀들이었다.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는 가난한 집 자녀들이 일제 식민통치 하에서 중등교육을 제대로 마치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것을 감안해 3년제 예비과를 설치해 중등학교 졸업 자격이 없어도 대학에 입학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신효숙, ‘소련군정기 북한의 교육개혁’, “북한현대사 1”,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엮음, 한울아카데미, 2004년, 198쪽.

 

가난한 집 자녀들은 기숙사 및 식료품, 등록금 무료혜택에 장학금까지 지원받았다.

김일성종합대학은 김일성 위원장의 직접적인 발기에 의해 건설된 것이었다.

9월 15일 진행된 축하식에서 김일성 위원장은 “민주주의적 국가 건설에 헌신할 인재가 될 것”을 당부했다.

-김성보, “북한의 역사1”, 역사비평사, 2011년, 118쪽.

 

이 축하식에는 미군정청에 의해 강제해산된 서울 법정학교 출신 학생 40여명이 참석하기도 했다.

 

김일성종합대학의 모습.

 


(계속)